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의 의뢰:너만 아는 비밀 책 모순 감성미스터리 사회적메시지

by 달빛서재03 2025. 10. 27.
반응형

오늘의 의뢰:너만 아는 비밀의 책 표지

SNS로 연결된 세상 속, 과연 진짜 ‘비밀’은 존재할까? 김성민 작가의 『오늘의 의뢰: 너만 아는 비밀』은 관계 속에서 숨겨진 감정과 비밀을 추적하는 감성미스터리다. 디지털 시대의 고독, 신뢰, 그리고 진실의 의미를 되묻는다.

SNS와 비밀의 모순

SNS는 모든 사람을 연결하지만 동시에 모두를 감시한다. 『오늘의 의뢰: 너만 아는 비밀』은 이러한 시대적 아이러니에서 출발한다. 작품 속 주인공은 ‘오늘의 의뢰’ 앱을 통해 익명의 의뢰를 받으며 타인의 비밀을 대신 해결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건 타인의 비밀이 아니라, 자신이 숨기고 있던 내면의 그림자다. 김성민 작가는 디지털 공간을 ‘가면의 무대’로 묘사한다. 우리는 SNS에서 행복한 척, 성공한 척, 괜찮은 척하며 자신을 포장한다. 하지만 그 안에는 말하지 못한 고립과 불안, 그리고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숨어 있다. 작가는 이런 현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면서도 단순한 경고로 그치지 않는다. 그는 “비밀은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형태를 바꿔 존재할 뿐이다.”라는 문장으로 SNS 속 인간관계를 철저히 해부한다. 책 속에서 ‘좋아요’와 ‘팔로워’는 감정의 화폐로 기능하고, 그 가치가 무너질 때 비밀은 파괴적인 힘을 드러낸다. 작가는 이를 통해 ‘너만 아는 비밀’이란 결국 타인과의 거리에서 생겨나는 오해이자, 스스로도 모르는 진짜 자아의 그림자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김성민 작가의 감성미스터리 문체

김성민 작가의 문체는 독특하다. 그는 사건을 중심으로 서사를 이끌기보다는 인물의 심리를 따라 이야기를 확장한다. ‘오늘의 의뢰’ 시리즈의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번 작품 『너만 아는 비밀』에서도 작가는 미스터리의 외형을 빌려 감정의 층위를 세밀하게 포착한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의뢰인의 SNS 기록을 분석하며 느끼는 미묘한 불편함은 단순한 직감이 아니라, ‘감정 데이터’의 왜곡에 대한 사회적 비판으로 이어진다. 작가는 대화체보다는 짧고 단정한 서술을 통해 긴장감을 유지하고, 동시에 내면 독백을 사용해 독자로 하여금 ‘읽히는 감정’과 ‘읽히지 않는 감정’을 구분하도록 유도한다. 김성민의 문장은 ‘추리’보다 ‘성찰’에 가깝다. 그는 인물의 과거를 퍼즐처럼 맞추지 않고, 감정의 결을 조각하듯 다듬는다. 덕분에 독자는 진실을 찾아가는 동시에 자기 자신의 내면을 마주하게 된다. 또한, 작가는 미스터리 장르에서 흔히 등장하는 범죄나 폭력 대신 인간관계 속의 ‘심리적 범죄’를 조명한다. 누군가의 비밀을 엿보는 순간, 우리는 이미 침해자이자 공범이 된다는 아이러니를 통해 김성민은 SNS시대의 윤리적 책임을 독자에게 되돌린다.

‘너만 아는 비밀’의 사회적 메시지

이 책은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를 투명하게 비추는 사회심리학적 텍스트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비밀을 대신 지켜주는 의뢰인’으로 활동하지만, 결국 타인의 고통과 진실을 모두 감당할 수 없다는 한계에 부딪힌다. 김성민은 이 지점을 통해 인간관계의 비대칭성을 날카롭게 드러낸다. SNS 속에서 ‘비밀’은 공개와 은폐의 경계에서 거래된다. 누군가는 그것을 이용해 타인을 조종하고, 누군가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또 다른 거짓말을 만든다. 작가는 이런 과정이 반복될수록 인간이 점점 더 외로워진다고 말한다. 『너만 아는 비밀』의 결말은 범인의 정체보다 “왜 우리는 서로에게 진실을 숨기는가?”라는 질문을 남긴다. 결국 비밀은 죄가 아니라 생존의 방식이며, 그 생존이 타인에게 상처를 줄 때 관계는 무너진다. 김성민 작가는 이를 통해 ‘비밀’의 윤리학을 제시한다. 감추는 행위 자체를 죄로 단정하지 않지만, 그것이 타인의 선택과 감정을 지배할 때 비밀은 폭력이 된다. SNS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이 작품은 단순한 소설을 넘어선 ‘인간관계의 거울’이자, 디지털 사회의 자화상으로 남는다.

『오늘의 의뢰: 너만 아는 비밀』은 SNS로 인해 왜곡된 관계 속에서 ‘진실’과 ‘비밀’의 경계를 묻는 작품이다. 김성민 작가는 독자에게 묻는다. “당신은 어떤 비밀을 숨기고 있나요?” 그 질문은 곧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반응형